Windows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분할 압축을 지원한다. 과거 플로피 시절 유용하게 사용되었던 분할 압축은 하드디스크의 용량이 커지고과 대용량의 이동형 매체의 보급에따라 그 필요성이 줄어든 것 같지만 사실 요즘도 자주 사용되는 것이 분할압축이다.
리눅스나 유닉스에서 분할 압축을 하려면 가장 좋은 방법은 WinRAR 처럼 분할 압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시스템에서 설치해서사용하는 것이다. 그러나 시스템 사정상 이러한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다면 Unix에서 지원하는 압축 명령과 분할 명령, 병합명령을 이용해서 마치 압축 파일을 분할한 것과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. 다음은
/bin 폴더의 모든 파일을 test.tar.gz이라는 파일로 분할 압축하는 명령이다.
tar cvfz - /bin/* | split -b 1m - test.tar.gz
tar cvfz - /bin/*는 /bin 폴더의 모든 파일을 tar.gz으로 압축하고 결과를 콘솔로 출력하는 명령이다. 아울러 split -b 1m - test.tar.gz은 콘솔로부터 입력 받은 데이타를 1M의 크기로 분할한 후 test.tar.gz라는 이름으로 저장하라는 명령이다. 따라서 이 명령을 실행하면 파일 크기에따라 그림처럼 test.tar.gzaa 부터 test.tar.gzac 까지의 파일이 생성된다.

이렇게 생성된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고 싶다면 파일을 합칠때 사용하는 cat 명령과 tar 명령을 함께 사용해서 압축 해제하면된다.
cat test.tar.gz* | tar xvfz -
cat test.tar.gz*은 파일이름이
test.tar.gz로 시작되는 파일을 합쳐서 콘솔로 출력하는 명령이고,
tar xvfz -는콘솔로부터 받은 파일의 압축 해제하는 명령이다. 리눅스의 경우 tar에서 gzip을 지원하므로 위와 같은 명령의 사용이가능하다. 그러나 리눅스가 아니거나 리눅스 tar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음처럼 중간에 gzip 명령을 더 추가해야 한다.
tar cvf - /bin/* | gzip - | split -b 1m - test.tar.gz
cat test.tar.gz* | gzip -d - | tar xvf -
마지막으로 눈치가 빠른 사람은 이미 알고 있겠지만 명령행에서 사용되는
-는 표준 입출력(화면, 키보드)을 의미한다.